디지털포스트 PC사랑 뉴스레터
구독하기
오픈AI는 왜 '추론'도 못하는 AI를 출시했을까
2025. 3. 4.
오픈AI는 왜 '추론'도 못하는 AI를 출시했을까
2025.3.4 | PC사랑 뉴스레터 13호 |
구독하기
|
이전 뉴스레터
안녕하세요, 온라인 편집국 이백현 기자입니다.
최근 AI 시장의 키워드는 '추론'으로 보입니다.
지난 주 금요일,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회사의 GPT-4.5를 선보이면서 마지막 '비추론' 모델이라고 밝혔습니다
. 그러면서도 GPT-4.5를 "현존 최고의 모델"이라고 치켜세웠죠.
한편 세계에 충격을 준 딥시크의 인공지능 모델 R1은 '추론' 모델입니다. 그전까지 최고 성능으로 평가받던 오픈AI의 '추론' 모델 'o1'과 저비용으로 경쟁이 가능하다고 해 세상을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흐름을 보면 AI 시장은 이제 '대 추론 시대'로 접어든다고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오픈AI조차 GPT-4.5를 끝으로 더 이상 '추론하지 않는 AI 모델'을 만들지 않는다고 선언한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그렇다면 이 '추론'이 뭐길래, 왜 AI 관련 기사에서 자주 언급되는 걸까요?
Today's Index
- Editor's Pick
- Weekly Breifing
•하드웨어 리뷰
•신제품 News
- 봄바람과 함께하는, 2025년 3월호
•표지모델 인터뷰
- PC사랑 유튜브 쇼츠
Editor's Pick
오픈AI가 출시한 마지막 '비추론' 모델, GPT-4.5
오픈AI의 최신 모델 GPT-4.5는 추론하지 않는, 이른바 '비추론'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데요. 추론이 뭐길래 오픈AI는 '비추론' 모델을 출시했고, 이게 주목을 받고 있는 걸까요?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 추론이란, 주어진 정보를 토대로 논리적인 사고과정을 거쳐 새로운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알려진 "사람은 다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와 같은 3단 논법도 추론에 속하죠. 앞선 주어진 2가지 정보(사람은 다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와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결과(소크라테스는 죽는다)를 도출해 냈으니까요.
그렇다면 AI도 추론을 할까요? 대답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 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하면 AI도 당연히 추론을 할 것 같지만, 실제로 초기 챗GPT 모델은 추론을 하지 않았습니다. 대화형 AI는 문장의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이에요. 이를테면 초기 챗GPT 모델 '1 더하기 1은?'이라고 물었을 때 '2'라고 대답하지만, 그 대답은 실제로 계산을 수행한 결과가 아니었습니다. 단지 '1 더하기 1'이라는 문장 다음에 '2'라는 숫자가 올 확률이 통계적으로 높기 때문에 그렇게 대답했던 거죠.
하지만 최근의 AI 모델은 다릅니다. 단순히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것에서 벗어나, 논리적 사고 과정(사고의 사슬, Chain of Thought, CoT)을 거치도록 개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렇다고 해서 AI가 인간과 동일하게 추론하는 것은 아닙니다. AI가 수행하는 '추론'은 여전히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패턴 인식'에 가깝습니다.
다만 기존 모델은 수학 문제를 풀 때 '수식 전개 없이' 정답일 확률이 가장 높은 대답을 했다면, '추론'이 적용된 모델들은 수학 문제의 수식을 하나 하나 풀어서, 중간 단계의 '확률'을 계산하게 됐다는 게 중요한 거예요. 중간 단계를 추가했더니, 그 결과 AI는 정답을 더 정확하게 '때려맞출' 수 있게 된 거죠.
그렇다면 오픈AI는 왜 '정확한' 추론 모델 대신, '부정확한' 비추론 모델인 GPT-4.5를 내놓았고, 그러면서도 왜 GPT-4.5를 '가장 거대한 AI'로 소개했을까요? 그건 오픈AI의 강점이 현재까지 확보한 '대량의 데이터셋'과 그것을 적용해 학습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에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쉽게 말하면 AI 제재를 받고 있는 중국의 '딥시크'에 비해 'AI 칩을 훨씬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강점이라는 건데요. '보다 많은 데이터'를 '다수의 AI칩'으로 학습시키면, 앞서 말했던 것처럼 수학 문제의 정답을 더 높은 '확률'로 맞출 수 있게 됩니다. '추론'을 하지 않더라도요.
문제는 정작 학습 데이터와 AI 인프라를 늘릴 수록 AI의 성능이 향상된다던 '스케일링의 법칙'이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단순히 데이터셋을 늘리고, 더 성능 좋은 AI칩을 만드는 것만으로는 이제 더 이상 AI 성능을 개선하기 어렵다는 거예요. 딥시크로 인해 AI 경쟁의 무대는 이제 '추론'과 그 추론의 성공적인 수행을 담보할 '알고리듬'으로 옮겨가서, 이른바 'AI 춘추전국시대'가 도래하고 있죠.
그러한 배경에서 오픈AI는 GPT-4.5를 '가장 거대한 AI'로 소개했습니다. 대량의 데이터셋과 AI 컴퓨팅 파워를 극한으로 활용하고, 대신 '추론'을 적용하지 않은 모델. 그게 GPT-4.5의 입지인데요. 자사 추론 모델(o1)보다도 '단순질의응답(SimpleQA)' 테스트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지만, 이건 데이터셋을 늘린 데서 따라오는 당연한 효과에 가깝습니다. GPT-4.5는 오픈AI가 가진 'AI 기득권'을 보여준다고도 표현할 수 있겠네요.
오픈AI가 "현존 최고의 모델"이라고 뽐낸 GPT-4.5는, 어쩌면 '스케일링 법칙'의 마지막 유산이 아닐까요?
#오픈AI #추론 #스케일링_법칙
IP 급하다면서... 크래프톤은 사들인 IP를 왜 포기했을까
크래프톤은 넥슨과 함께 국내 게임업계 투 톱으로 꼽히는 회사입니다. 작년 영업이익만 1조원 이상을 내면서 그 저력을 증명했죠. 그러나 그와 함께 따라다니는 비판이
소위 게임업계의 '원 히트 원더'라는 지적인데요. 히트곡 하나 이외에는 대표곡이 없는 가수를 '원 히트 원더'라고 부르죠.
이러한 평가는 글로벌 흥행작 '배틀그라운드' 이외에는 뚜렷한 성과를 달성한 적 없는 크래프톤을 따라다니고 있습니다. 캐시 카우 '배틀그라운드'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새 흥행 IP를 발굴해야 한다는 거예요.
그런데 지난 주, 크래프톤이 차기 핵심 IP로 꼽히던 게임의 브랜드명을 변경한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2023년 넥슨과의 저작권 소송전을 인지하면서도 계약했던 '다크 앤 다커 모바일' 라이선스를 포기한 건데요.
크래프톤은 왜 사들인 IP를 포기했을까요?
#크래프톤 #넥슨 #다크앤다커 #저작권소송
Weekly Breifing
2025년 상반기 최대 기대작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제대로 즐기려면?
2025년은 굵직한 AAA 게임이 대거 출시되는 해죠. 게이머들이 가장 기대하는 하반기 기대작은 1억 8천만 장 이상이 판매된 'GTA 5'의 후속작, 'GTA 6' 입니다. 그렇다면 상반기 최대 기대작은 뭘까요? 바로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후속작, '몬스터 헌터 와일즈'죠. 지난 몬헌 시리즈(몬스터 헌터 라이즈)와는 달리 최신 기종 콘솔·PC에만 집중하면서 화려한 그래픽을 자랑하는데요. 멋진 그래픽을 제대로 즐기려면 하드웨어도 못지않게 갖춰야 되겠죠? PC사랑 기자들이 고른, '몬헌 와일즈'와 어울리는 게이밍 기어를 살펴보시죠.
#몬헌 #게이밍기어
#PC
[하드웨어 리뷰] 확장성 높은 구조, 글카 수직 장착 가능!
PC케이스를 구매할 때 살펴야 하는 것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확장성과 호환성입니다. 일단 내가 가진 부품이 조립이 되는지, 안 되는지보다 중요한 요소는 없겠죠. 이 부분에서 다크플래쉬는 꾸준히 준수한 확장성을 지닌 케이스를 선보이고 있는데요. 상단·전면 360 라디에이터 설치 가능, 그래픽카드 최대 435mm, CPU 쿨러 높이 최대 185mm...
이정도 설명이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다크플래쉬 DF4100 메쉬 ARGB BTF
를 소개합니다
#미들타워케이스 #다크플래쉬 #E-ATX
[하드웨어 리뷰] 쉽고 간편한 무한잉크 복합기
프린터 구매를 고민하고 계시다면, 인쇄 기능만 갖춘 기기보다는 이왕이면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기를 고르는 게 좋습니다. 꼭 한번씩 스캔이라던지, 팩스라던지... 관련 기능을 사용할 때가 생기거든요. 요즘 출시되는 복합기는 편의성이 뛰어나기도 하고요.
'브라더'는 복합기는 물론 라벨프린터, 디지털 의류 프린터 등 다양한 프린팅 기기를 개발하는 업체인데요. 관련 기기에 대한 개발 경험이 풍부한 만큼, 완성도 높은 복합기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브라더 MFC-T930DW 무한잉크 복합기
를 함께 살펴보실까요?
#복합기 #브라더 #설치간편
신제품 News
*클릭하면 해당 뉴스로 이동합니다.
그동안 '가성비'로 알려졌던 IT 기업 샤오미가 '괴물 스펙'의 스마트폰을 출시했습니다. 바로 '
샤오미 15 시리즈
'인데요. 특히 잘 알려진 독일 광학·카메라 회사, '라이카'가 생산한 렌즈를 탑재하면서 주목을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자체 OS와 함께 AI기능도 지원한다고 합니다.
한국레노버가 고사양 게이밍 데스크탑
리전 타워 7i
를 출시했습니다. 최대 인텔 코어 울트라 9 285K(애로우레이크)와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80 그래픽카드를 탑재했다고 합니다. 이런 완제품 데스크톱에서 주목되는 것은 쿨링 솔루션인데요. 리전 타워 7i는 레노버의 발열 제어 기술 '리전 콜드프론트'가 적용되었다고 하네요.
PC사랑 2025년 3월호
3D 시뮬레이션 & 3D 렌더링
생산성 높이는 PC 구성하기
몬스터헌터 와일즈에 좋은 게이밍 기어
커버스토리
배송 이어 AI 패권 전쟁
혁신의 K커머스 20년
고주사율 게이밍 모니터, 어디까지 알아봤나
정기구독 신청
바이올린과 대화의 즐거움이 열정의 원천!
쇼호스트 안예솔 [표지모델 인터뷰]
PC사랑TV 유튜브 쇼츠
브라더 무한잉크 복합기
갤럭시 탭 S10+로 그림 그리기
공유하기
게시하기
웹에서 보기
디지털포스트 X PC사랑
webmaster@ilovepc.co.kr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3길 10 (하우스디비즈) 502호
대표전화 : 02-783-0074, 070-4077-0185
수신거부
Unsubscribe
공유하기
디지털포스트 PC사랑 뉴스레터
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디지털포스트가 발간하는 뉴스레터입니다
구독하기
이전 뉴스레터
'LoL 전설' 페이커의 손끝을 책임지는 마우스는?
2025. 2. 24.
다음 뉴스레터
스팀 동접자 4천만명 1등 공신, '몬헌'을 아직 모르는 당신에게
2025. 3. 10.
디지털포스트 PC사랑 뉴스레터
디지털포스트가 발간하는 뉴스레터입니다